건타넷

증여세 줄이는법,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는 얼마나 될까 ? 본문

잡다한

증여세 줄이는법,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는 얼마나 될까 ?

건타 2024. 4. 13. 19:49

 

상속 및 증여세율

 

증여세에는 상속세와 동일한 세율을 적용한다. (과세표준에 따라 10%에서 최대 50% 세율)

쉽게 계산하려면,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한 후 누진공제액을 빼면 납부해야 할 증여세를 계산할 수 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

 

증여세를 공제받을 수 있는 한도액을 면제 한도액이라 하는데, 증여를 받는 사람이 어떤 관계에 있느냐에 따라 다른 공제액을 적용받을 수 있다.

 

위에서 나와있듯이 배우자 간 증여가 가장 많은 공제를 받을 수 있고, 직계존속, 직계비속, 4촌 - 6촌까지 단계적으로 내려가는 형식이다.

 

또한 중요한 것은 건별로 공제하지 않으며, 최근 10년 동안의 합산 기간동안 얼마나 증여를 하였는가로 합쳐서 계산된다.

 

 

증여세 줄이는법 어떻게 ?

 

증여세를 줄이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는데,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니 꼭 세무사를 통해 계산 후 증여를 하는것이 좋다.

 

  • 부담부 증여
  • 특수관계인 저가 양도
  • 가족법인을 이용한 절세

1. 부담부 증여

 

부담부 증여는 자녀에게 주택담보대출과 같은 빚을 함께 증여함으로써, 증여세는 줄어들고 약간의 양도세를 납부한다면 자녀는 증여받는 빚을 제외한 순재산가액에 대한 증여세만 납부하면 된다.

 

2. 특수관계인 저가 양도

 

부모 자식간의 부동산 거래로써 증여세를 절세하는 케이스도 있는데, 이를 특수관계인 간의 저가 양도라고 한다.

 

3. 가족법인을 활용한 절세

 

부모 자식간에 직접적인 증여를 하지 않고, 가족법인을 만들어서 해당 법인을 통해 부동산을 취득하는 등 절세가 가능한 케이스가 있다.

 

Comments